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핀란드, 싱가포르, 일본 교육법 비교해보니… 한국은 어디쯤? 한국은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 상위권을 꾸준히 유지하며 '교육 강국'으로 불리지만, 정작 학생과 학부모는 지치고 힘들어합니다. 반면, 세계 교육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핀란드, 싱가포르, 일본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미래 교육을 실현하고 있습니다.이렇게 핀란드, 싱가포르, 일본 교육법 비교해보니…한국은 어디쯤인지와 한국 교육이 서 있어야 할 방향도 보이기 시작합니다. 1.핀란드 – ‘경쟁 없는 교육’이 만든 창의력과 행복지수 1위핀란드는 교육 개혁의 대표 모델로 손꼽히며, “경쟁 없는 교육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에 실제 사례로 답을 주는 나라입니다.1990년대부터 ‘자율성’과 ‘평등’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 핀란드 교육은 전통적인 교과 중심 시스템을 근본부터 재설계했습니다.주요 특징시험 중심 교육 철폐:.. 2025. 6. 24.
수포자 만드는 초등 수학 교육의 진짜 문제는? "수포자"라는 단어가 중학생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훨씬 더 이른 시점에서 씨앗이 심어집니다.초등 수학의 개념을 '이해'가 아닌 '암기'나 '속도' 중심으로 접근할 때, 아이는 문제를 푸는 법은 배워도 왜 푸는지는 모릅니다.그 결과, 사고력이 자랄 틈도 없이 “나는 수학 못해”라는 낙인만 남기게 됩니다.그렇다면 수포자 만드는 초등 수학 교육의 진짜 문제는무엇일까요?1.문제는 '진도'가 아니라 '이해의 밀도'다많은 초등 수학 수업이 “다음 단원으로 넘어가야 하니까”라는 이유로아이가 개념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어도 진도를 나갑니다.이는 학원에서도, 심지어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덧셈 알잖아.”“곱셈은 배운 거잖아.”“이건 3학년 때 했던 문제야.”하지만 아이의 머릿속에서는수학 개념이 연결.. 2025. 6. 23.
현직 교사 5인에게 직접 들은 성적보다 중요한 것들 성적은 학생의 성장을 가늠하는 하나의 지표이지만, 그것이 전부일까요?현장에 있는 교사들은 오히려 ‘성적 너머의 것들’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현직 교사 5인에게 직접 들은 성적보다 중요한 것들을 통해 우리 아이 교육의 진짜 우선순위를 다시 고민해봅니다. 1.스스로의 가치를 믿는 아이 – 자존감이 성적을 이긴다첫 번째로 만난 초등학교 6학년 담임 교사 이혜진 선생님은학년 말이 되면 유난히 많은 학부모들이 성적 상담을 요청한다고 말했습니다.하지만 성적보다 먼저 확인하는 건 바로 아이의 자존감이라고 했습니다.“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상관없어요. 문제는 아이가 자기를 '괜찮은 사람'이라고 느끼는가예요.”이혜진 교사는 자신의 실수나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다시 도전하는 아이들이장기적으로 훨씬 더 뛰.. 2025. 6. 23.
감정코칭과 성적 향상 사이의 상관관계 실험기 “성적이 오르려면 공부 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믿음이 당연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우리 아이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건 시간보다 ‘감정의 안정’이라는 것을 알게 된 건, 시행착오 후였습니다.감정코칭을 3개월간 실험하며, 성적 변화보다 더 놀라운 결과를 경험하게 되었죠. 그래서 감정코칭과 성적 향상 사이의 상관관계 실험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1.“공부는 머리로만 하는 게 아니다” – 감정이 만든 집중력의 차이“아이 성적이 떨어지면 부모는 공부 방법부터 바꾸려 합니다.”문제집을 바꾸고, 학원을 옮기고, 시간을 더 배분합니다.하지만 정작 공부의 뿌리인 ‘감정 상태’는 잘 들여다보지 않습니다.저 역시 그랬습니다.아이 성적이 떨어지자 ‘노력 부족’이라고 판단했고, 아이는 점점 말이 줄고, 책상에 앉는 걸 싫.. 2025. 6. 23.
집중력 10분, 20분, 30분 실험 – 연령대별 집중 루틴 만들기 1.“우리 아이 집중력이 너무 짧아요” – 진짜 문제는 뭘까?아이의 공부 습관에 대해 가장 많이 듣는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집중력 부족’입니다.“책상에 앉아도 5분도 안 돼서 딴짓을 해요.”“숙제를 하다 말고 자꾸 물 마시고, 화장실 가고, 책 꺼내고…”“한 문제 푸는 데 30분이 걸려요.”하지만 이런 상황을 단순히 ‘의지 부족’이나 ‘버릇 없음’으로 해석해선 안 됩니다.오히려 문제는 부모의 기대와 아이의 뇌 발달 간 ‘집중 시간의 불일치’에 있습니다. 연령별 평균 집중 시간은 얼마나 될까?6,7세 (초1,2)10~15분집중 10분 + 휴식 5분 반복8,9세 (초3,4)15~20분집중 15분 + 휴식 5분 반복10,12세 (초5,6)20~30분집중 20,25분 + 휴식 5,10분중학생 이상30~40분집.. 2025. 6. 20.
시험 불안 극복 훈련 – 부모가 먼저 고쳐야 할 3가지 말버릇 1.“시험 전만 되면 애가 이상해져요” – 정말 아이만의 문제일까?시험이 다가오면 긴장감이 커지는 건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하지만 어떤 아이들은 손에 땀이 나고, 식욕이 떨어지고, 평소보다 예민해지고, 심하면 토하거나 울기도 합니다.이처럼 일상 기능에까지 영향을 줄 만큼 시험 불안을 겪는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부모 입장에서는 안쓰럽고 답답해“긴장하지 마, 그냥 평소처럼 해”“왜 벌써부터 걱정해?”“너는 공부했으니까 괜찮아”라고 말하곤 합니다.그런데 아이는 그런 말을 듣고도 더 안정되지 않고, 오히려 더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왜일까요?부모의 말이 도움이 되기보다, 아이의 불안을 더 키우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리고 바로 그 말버릇들이,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한 채 ‘시험 불안을 학습시.. 2025. 6. 19.